springboot 2

🚀 Redis Pub/Sub 적용기 — EventListener 한계부터 직렬화 이슈 해결까지

서비스가 커지면서 단순한 이벤트 처리 방식으로는 한계를 느끼기 시작했습니다.이번 포스팅에서는 기존 @EventListener 기반 구조에서 Redis Pub/Sub으로 리팩토링한 과정과,그 속에서 겪은 직렬화/역직렬화 이슈 해결기를 공유해보겠습니다. 1️⃣ 왜 Redis Pub/Sub을 도입했을까?초기에는 스프링의 @EventListener 를 사용해 결제 취소/실패 알림을 처리했습니다.스프링 이벤트는 단일 서버에서 간단한 후처리를 할 때 정말 편리하죠.하지만 서비스가 성장하면서 확장성과 비동기 처리의 한계가 드러났습니다. 🔹 EventListener vs Redis Pub/Sub 비교항목 @EventListener Redis Pub/Sub동작 범위애플리케이션 내부 프로세스분산 환경에서도 사용 가능비..

CODING/Project 2025.04.28

TIL 6일차_2024.12.18(수)

(왕초보)웹개발 종합반 4주차1) 오늘 차시 시작 전 복습 4주차 진도를 나가던 도중,album 이전 주차에 했던 내용이 저장되어 있지 않아서 하나씩 복습의 개념으로 스스로 해결하기 시작했다. firebase를 실행하려면 script type="module"을 설정해야 하고,이 상태에서는 onclick이 작동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모른 채계속 기존 코드와 비교하면서 원인을 찾았다. 이렇게 쉽지 않지만 원인을 찾아가는 과정이 개발자의 길에 한 걸음 다가간 것이라고 생각한다.물론 스스로 해봐도 안 될 경우에는 튜터님께 문의드려야 되겠다.수학문제처럼 스스로 10분 정도 시간을 주고 시간을 주면 할 수 있는 문제와 시간을 줘도 할 수 없는 문제를 (자신의 한계, 능력) 판단하여 상사에게 도움을 요청하는 것은 매우..

728x90
반응형